일본에서는 "어머니의 맛"으로 불리며, 친숙한 가정 요리로 취급된다. 2015년 20대~30대 남성 직장인 2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40%의 남성이 지금도 먹고 싶은 "어머니의 맛"이라는 키워드에 니쿠쟈가를 대답했다[참조]
※) 개인적으로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달기만 해서.
《기원》
일본의 해군 제독 도고 헤이이치로(東郷平八郎)가 영국에 유학을 하였을 때, 비프 스튜의 맛을 잊을 수 없어 부하에게 비프 스튜를 만들라고 했다. 하지만 비프 스튜에 사용할 데미글라스 소스도 와인도 없었기 때문에, 그 대신에 간장, 설탕, 미림 등을 사용하여 만든 것이 니쿠쟈가라는 이야기가 있다.
〈마이즈루 vs 쿠레〉
도고 헤이이치로 발상 일화를 기반으로, 니쿠쟈가의 원조를 놓고 경쟁도 벌어지고 있다. 쿄토 부 마이즈루 시(舞鶴市)와 히로시마 현 쿠레 시(呉市)의 대결이다.
마이즈루 시는 1901년, 도고 헤이이치로가 처음으로 사령장관으로서 마이즈루 진수부(舞鶴鎮守府)에 부임한 것을 근거로 삼고 있으며, 마이즈루 해상자위대총감부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니쿠자가 레시피로 알려져 있는 1938년 출판된 『해군주방관교과서(海軍厨業管理教科書)』가 남아 있는 것을 근거로 하고 있다. 1995년 마이즈루 시는 「니쿠쟈가 발상지(肉じゃが発祥の地)」를 선언했다. 그리고 매년 마이즈루 니쿠쟈가 축제(まいづる肉じゃがまつり)를 열고 있다.
쿠레시는 도고 헤이이치로가 마이즈루에 부임하기 10년 전에 이미 쿠레 진수부(呉鎮守府)에 참모장으로서 부임했다는 점을 근거로, 니쿠쟈가는 쿠레가 발상지라고 주장하고 있다.
※) 어차피 다 관광객 다툼이겠지만….
《도고 헤이이치로 기원설에 대한 반론》
니쿠쟈가 도고 헤이이치로 기원설 자체에 반론도 존재한다.
일단 데미글라스 소스를 사용한 하야시라이스(하이라이스)가 메이지 시대 초기에 나오고 있었으므로, 정황상 이 시대는 이미 서양 요리가 일본 요리사들에게 그리 낯선 것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제독 같은 높으신 분이 비프스튜를 주문했는데 간장이나 설탕으로 소스를 대체하는 일은 있을 수 없고 어디까지나 전설에 지나지 않는다는 반론이다.[참조]
《참조》
마이즈루 니쿠쟈가 축제 실행 위원회(まいづる肉じゃがまつり実行委員会 )
http://www.nikujyaga.info/
Japn Business Press - 남심을 사로잡는, 나의 특기요리는 니쿠쟈가
http://jbpress.ismedia.jp/articles/-/21440?page=2
좋아하는 어머니의 맛 TOP10 好きな「おふくろの味」TOP10
http://r25.yahoo.co.jp/fushigi/wxr_detail/?id=20150509-00042135-r25
일본해군과 니쿠쟈가의 관련된 제설을 검증
http://togetter.com/li/627236
http://www3.ocn.ne.jp/~y.hirama/yh_ronbun_senngoshi_curry.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