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래 피안이란 피안(彼岸)이란, 산스크리트어 바라밀다(波羅密多,pāramitā)에서 온 것이다. 원어는 완성, 완전함의 뜻이었다고 추측된다.
불교에서는 번뇌, 미혹에서 벗어난 깨달음의 세계를 뜻한다. 불교에서는 육바라밀(六波羅蜜)의 수행을 함으로서, 피안에 도달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
《절기행사》
피안에서 이름을 따온 일본의 절기 행사인 피안(お彼岸,오히간)은 춘분과 추분을 중심으로 전후 각 3일씩을 합쳐서, 7일간의 기간을 뜻한다.
이 기간에 부처님에게 공양을 함으로서 고인이 성불할 수 있다고 여긴다. 피안회(彼岸会)라는 법회를 열거나, 묘지에 성묘를 하고 공양물을 올린다.
피안회 풍속은 헤이안 시대 초기에 시작되었다. 춘분과 추분이 태양 숭배와 관련지어 벌어지던 민간의식이, 불교와 결합되었다는 설도 있다.